싸권's IT Story

라즈베리파이 NAS 만들기 - 1부

싸권 2017. 9. 8. 10:32

라즈베리파이를 이용한 NAS 구축하기 - 1부

: 사전 준비하기



현재 사용하고 있는 NAS가 두개 있습니다.


1. HP N40L 

   마이크로 서버인데, 기본적으로 HDD 4Bay를 갖고 있어서 확장성이 좋습니다.

   여기에 델 Raid 카드를 장착해서 8개의 HDD를 더 장착할 수 있습니다.

   Xpenology를 설치해서 NAS로 사용중인데, 서버다보니 1년내내 켜있어도 문제없을 정도로 안정성이 좋습니다.

   Xpenology가 정말 다양한 기능을 제공해서 여러모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긴 한데,

   딱히 저에겐 여러가지 기능은 필요가 없네요.


2. IPtime N101

   HDD 1개가 들어가는 NAS인데, NAS의 기본적인 기능만 가능하죠.


   

이 두개의 NAS는 현재는 회사에서 사용하고 있는 중입니다.

업무용으로 사용하다보니 외부에서 접근은 차단하고, 파일서버로만 사용중입니다.


아무래도 용량적인 면이나 기능적인 면으로나 훨씬 뛰어난 HP N40L 서버를 메인으로 사용중이고,

IPtime NAS는 USB로 N40L에 연결해서 중요데이터의 백업용도로 사용중입니다.

Xpenology의 자동 백업 기능을 이용해서 매일 00시에 백업이 수행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이러다보니 외부에서의 접근도 안되고, 개인적인 용도로는 사용할 수가 없는 상황이라

별도의 NAS를 집에 구성하기로 했습니다.


하지만 24시간 켜져있는 NAS의 전기세가 부담이 되어서 라즈베리파이로 구성해보려합니다.


일단 주 목적은 핸드폰 사진의 자동 백업(클라우드), 원격 Torrent 머신, 음악 및 영화 자료 공유가 되겠습니다.

이리저리 알아보니 OpenMediaVault(이하 OMV)가 라즈베리파이용 NAS로 많이 이용된다고 합니다.


오늘은 간단히 자료만 준비하기로 했습니다.


1. 라즈베리파이 + 16GB MicroSD

   집에 굴러다니는 라즈베리파이1를 활용하려하고, 16GB MicroSD 메모리에 OMV 설치하려합니다.

   라즈베리파이1 모델이라 사양이 그리 좋진 않습니다.

   기존에 Kodi를 설치해서 동영상을 돌려봤는데, 화면이 너무 뭉개져서 사용하기 어렵더군요.

   일단은 기본적인 파일공유가 가능하다면 사용해보려합니다.



2. 외장하드 500GB

   그래도 NAS인데 MicroSD 용량으론 부족하겠죠?

   USB 외장하드 500GB를 연결해서 파일서버의 충분한 용량을 만들어주려합니다.



3. OpenMediaVault

   NAS 솔루션인 OMV를 준비합니다.

   https://sourceforge.net/projects/openmediavault/files/Raspberry%20Pi%20images/  <- 이 사이트에서 필요한 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전 라즈베리파이1이라서 아래쪽에 있는 2.0.15 버전으로 구성해야겠네요.



라즈베리파이용 OMV와 x86용 OMV도 있네요.

OMV3.0.79 다운로드 받기위해 클릭하면 아래 Win32DiskImager가 보이는데, 그것도 같이 다운받는게 좋습니다.

다운받은 이미지를 MicroSD에 Write하기위해 필요한 툴입니다.



아래쪽에 간단한 설명이 되어 있습니다.

일단 OMV Image에 대한 설명과 초기 패스워드가 보이네요.


기본적으로 필요한 것들은 준비가 되었으니 2부에서는 설치하고, 구성하는 방법으로 포스팅해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