싸권's IT Story 67

알리발 기계식 키보드(Ziyoulang K68)

현재 사용하고 있는 노트북의 키보드가 예전에 가은이가 음료수를 흘려 상태가 좀 이상한 상태입니다. 아예 안눌리거나 그러진 않아서 대충 사용하기도 하고 로지텍 블루투스 키보드(K380)를 사용하기도 했습니다. 사실 회사에서는 대부분 데스크탑을 사용하고 있어서 크게 불편하진 않았는데, 요즘 제안 작업을 하면서 노트북을 자주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노트북 키보드가 예전 음료수 때문인지 누를때 뭔가 약간 끈적이는 느낌과 오른쪽 시프트가 잘 안눌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로지텍 블루투스 키보드를 사용해볼까 했는데, 키가 얇으면서 간격이 좁다보니 오타가 많고 제일 안좋은게 화살표 키가 너무 작은 것과 PageUp, PageDown 키가 없어서 너무 불편하더군요. 뭐 어쨌건 업무는 끝났지만 이런저런 이유로 무선 기계식 키..

싸권's IT Story 2023.10.30

HP N40L 헤놀로지 DSM 7.1 사용기

구입한지 10년이 넘은 HP N40L 마이크로 서버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초기에는 윈도우즈와 리눅스를 설치하기도 하고, RHEV로 가상화 서버로도 사용하기도 했는데, 성능이 떨어져서 도저히 일반적인 데스크탑으로 활용하기는 힘들었습니다. 그래서 마지막에는 Xpenology를 설치하고 DSM 5.2를 올려서 사용을 했습니다. 기본적으로 4개의 HDD 베이를 제공하고 있어서 500GB HDD 4개를 장착했다가 누군가 RAID 카드를 설치하고 6개의 2.5inch HDD 6개를 추가로 장착한걸 보고 저도 시도해봤다가 굳이 그럴 필요가 없어서 현재는 RAID 카드만 달려있는 상황입니다. 최근에는 NAS 자체가 무슨 필요가 있나 싶어서 PC내에 가상화로 NAS를 올려서 사용했는데, 우연히 Xpenology 업그레이..

싸권's IT Story 2022.05.30

스마트폰에서 PC로 사진 전송 (with 웨일브라우저)

요즘은 대부분 사진을 스마트폰으로 찍고, 스마트폰으로 SNS에 올리는 게 일반적인 듯합니다. 블로그의 경우엔 글을 많이 쓰는 경우가 많아서 스마트폰으로 포스팅을 하는 게 쉽지는 않습니다. 주로 스마트폰의 사진을 PC로 전송을 해서 포스팅을 하는데, 의외로 스마트폰에서 사진을 PC로 옮기는 게 귀찮게 느껴질 때가 많습니다. 스마트폰에서 사진을 PC로 전송하는 방법은 정말 다양합니다. MyBox나 구글 드라이브 같은 클라우드 저장소에 올려서 PC에서 다운로드하기, 카카오톡에서 "나와의 대화"에 사진 전송 후 PC의 카카오톡에서 다운로드하기, 스마트폰에서 메일로 전송하기, 스마트폰에서 PC 연결해서 폴더 검색 후 복사하기... 등등 뭐 자신의 취향이나 익숙한 방법을 이용하시면 되죠. 저는 회사에 PC 1대, ..

싸권's IT Story 2022.04.12

알리발 태블릿 거치대 구입

차량에 태블릿을 거치하기 위해 이런저런걸 생각하다 회사 직원이 사용하던 거치대가 맘에 들었습니다. 이유는 아주 간단하고, 태블릿을 거치하다 바로 탈거해서 들고다니기도 편한 구조이며, 차량에 설치해도 아주 거추장스럽지 않아 보였습니다. ​ 그래서 검색해보니, 아이패드용으로 판매를 하면서 엄청난 가격을 자랑하더군요. 다시 알리에서 검색해보니 하나에 4천몇백원하길래 바로 2개를 구입했습니다. ​ 일주일쯤 걸려서 배송이 되었는데, 정말 맘에 드네요. 정말 간단한 구조입니다.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진거라 굉장히 가볍습니다. 뒷모습입니다. 구멍 뚫린 부분에 못을 걸으라는건가? 그냥 인테리어일 수도 있죠. 힌지가 너무 쉽게 움직이면 어쩌나 걱정했는데, 태블릿 노트북을 올려놔도 전혀 움직이 없습니다. 노트북이 크기가 있고..

싸권's IT Story 2022.04.01

LDW931 LTE 라우터 개봉 및 설치

현재 회사에서 핸드폰 요금을 지원을 받고 있어서 SK텔레콤의 가장 비싼 5G 플래티넘 요금제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해당 요금제의 여러 혜택중에서 스마트워치나 태블릿 등 데이터나눠쓰기 회선2개를 무료 제공해주는게 있습니다. 예전 LTE 요금제일 경우에도 데이터나눠쓰기 2회선까지는 무료이긴 했는데, 데이터량에 제한이 있었습니다. 기존 LTE 요금제 사용시에 데이터나눠쓰기 USIM을 두개 만들어서 하나는 태블릿에, 하나는 놀고있던 스마트폰에 넣어서 차에서 네비로 사용중에 있었습니다. 5G 요금제를 사용해도 기존 LTE USIM으로 데이터 나눠쓰기 사용이 가능하더라구요. 물론 5G가 아니라 LTE 속도로 이용하게 되는 거죠. 이렇게 이용하다보니 좀 아쉬운게 차량 이동 시 딸아이 핸드폰이나 WiFi만 되는 태블릿..

싸권's IT Story 2022.03.28

VMware에 Xpenology 설치(3/3)

설치된 Xpenology의 네트워크를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그 이유는 앞서 언급했던대로 네트워크를 NAT로 변경하여 내부에서 사용 시 네트워크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함입니다. 간단히 그 차이를 설명해보겠습니다. 보통 공유기를 사용하는 환경이라면 위와 같은 구성으로 VMware + Xpenology가 구성됩니다. VMware 네트워크를 Bridged 방식으로 구성을 하면 네트워크 경로는 ⓛ공유기 → ②PC 이더넷 → ③ Xpenology LAN포트 이런식으로 VMware의 네트워크를 경유치 않게 됩니다. Xpenology의 IP는 공유기에서 할당을 받게 됩니다. 이럴경우 만약 PC에서 Xpenology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면 ⓛPC이더넷→ ②공유기 → ③ Xpenology LAN포트 순으로 상단의 네트..

싸권's IT Story 2022.01.20

VMware에 Xpenology 설치(2/3)

앞서 소개해드린 파일들이 준비되었으면 VMware Workstation Player 설치를 하고 가상시스템을 만들겠습니다. 이해가 쉽도록 모든 과정을 캡쳐한 이미지 위주로 설명토록 하겠습니다. 익숙하지 않으신 분들도 쉽게 설정이 가능할 겁니다. 1. 가상화 시스템 생성 설치한 VMware Workstation Player(이하 VMware)에서 새로운 Virtual Machine을 생성키 위해 메뉴를 선택합니다. 오른쪽의 "Create a New Virtual Machine"을 클릭하시거나 메뉴에서 File -> New Virtual Machine... 을 선택합니다. 가상 시스템 설치 시 OS는 준비한 디스크 이미지를 사용하기 위해서 세번째 메뉴를 선택합니다. OS 선택시 Linux를 선택 후 버전은 ..

싸권's IT Story 2022.01.19

VMware에 Xpenology 설치(1/3)

기존에 집에 HP Micro Server N40L을 이용하여 Xpenology를 설치해서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개인 NAS(Network Attached Storage)이자 클라우드라고 할 수 있죠. 개인적인 업무 자료나 가끔 Torrent 머신(불법이라 자제해야죠 ㅡㅡ)으로 이용을 하고 있었고, 가장 큰 용도는 핸드폰 사진 자동 백업 기능이었습니다. Synology의 Photo Station을 설치하면 핸드폰 사진을 자동으로 백업을 해주게 됩니다. 흔히 말하는 개인 클라우드인 거죠. 예전에는 디지털카메라로 사진을 찍고 메모리카드를 옮기고, 수정하고, 블로그나 SNS에 올리고 그런 작업들을 했었는데 , 요즘은 스마트폰 카메라 성능이 워낙 좋아지고, 뭐 사진작가 하는게 아니라 일상생활의 사진을 찍는 건 스..

싸권's IT Story 2022.01.18

Zoom을 대체할 만한 "Whale On(웨일온)"

네이버 솔루션을 다음 블로그에 올리는게 좀 거시기 하지만 그래도 좋은 거 같아서 포스팅해봅니다. 최근 비대면 회의나 수업을 위해서 화상회의 사이트를 많이 이용하고 있습니다. 제 블로그에도 자체 솔루션 구축이 가능한 Jitsi Meet에 대한 내용도 있죠. (매일 조회수가 20-30회는 나오는 효자 포스팅입니다. ^^) 학교는 대부분 Zoom을 이용하고 있죠. 사용하기 간편하고 성능도 좋아서 이용하고 있지만, 조만간 무료 사용을 없앤다고 하더군요. 그래서 학교에서는 비상인거 같습니다. Jitsi Meet를 이용하면 좋지만, 생각보다 기능이나 성능이 좋지는 않습니다. 오픈소스의 한계인거죠. 저희 회사에서도 내부회의는 직접 구축한 Jitsi Meet를 이용하지만, 외부 고객이나 세미나에서는 Zoom, Goog..

싸권's IT Story 2021.03.11

Lineage OS 설치 시 Error 7 처리 방법

갤럭시탭4(SM-T530) 커스텀 펌을 TWRP로 설치 시 Error 7 이 발생하면서 Write가 안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때 해결방법입니다. 저 같은 경우엔 Lineage OS 16.0 설치 시 해당 에러가 발생했고, 다른 버전에서도 동일한 에러 발생 시 같은 방법으로 처리하면 됩니다. Lineage OS 압축파일을 전체 압축을 풀어줍니다. 그리고 "압축해제폴더\META-INF\com\google\android" 폴더 아래 update-script 파일을 메모장이나 노트패드++로 열어서 첫 3줄을 삭제하시고, 다시 압축해서 TWRP로 설치해주시면 됩니다. 메모장보다는 노트패드++를 이용하시면 좀 더 편합니다. 노트패드++ 다운로드: https://notepad-plus-plus.org/downloa..

싸권's IT Story 2021.01.19